본문 바로가기
뉴스

24.04.23 뉴진스 키운 민희진, 하이브와 전면전

by NIMMIN 2024. 4. 23.

코스피 2629.44(1.45%)

코스닥 845.82(0.46%)

환율 1379.20(-0.22%)

 

▶1분기 사상최대 물량 쏟아진 美국채…글로벌 금리 자극

미국 정부의 국채 발행 급증으로 인해 시장 금리가 상승할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 중

1분기에 사상 최대 규모의 국채를 발행하면서 국채 가격 하락 -> 채권가격과 금리는 정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금리 상승

고금리 장기화에 대한 대비 필요

 

미국 재정적자 우려도 커지고 있음

- 반도체지원법과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에 따른 첨단, 친환경 산업 보조금

- 학자금 탕감 등 복지 정책으로 인한 지출


▶홍콩 ELS 충격에 4대 금융 순이익 '털썩'

4대 은행 1분기 합산 순이익이 1년 전에 비해 20% 줄어들 것으로 전망

∵홍콩 ELS 손실 관련 자율배상 비용을 실적에 반영했기 때문

배상금은 재무제표에 충당부채로 인식돼 그만큼 당기순이익이 줄어듦

 

하지만 이는 일회성 비용이며 2분기부터는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

금융사는 수익의 70% 이상을 은행의 이자수익에서 얻고 있는데 금리인하가 지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순이자마진이 상승세를 그릴 것

 

* 홍콩 ELS 사태

홍콩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주가연계증권(ELS)에서 대량 손실이 발생한 (예정된) 사건

은행권은 수익원 다변화를 위해 비이자이익 업무 확대 - 금융투자 상품과 보험 상품을 은행 점포망에서 판매하는 방법 채택(고객이 필요로 하는 중개 서비스를 발굴·제공하여 수수료를 취득하는 방법)

위험이 크고 성과 구조가 복잡한 금융투자 상품을 전문성이 부족한 은행 창구에서 판매하다 보니 불완전 판매가 발생하여 고객 손실을 초래함

1. 은행은 홍콩ELS판매로부터 수수료 수익을 올렸으나, 결과적으로 고객에게 손실을 끼친 데 대해 ‘자율배상’ 하게 됨

고객의 신뢰 상실을 초래 -> '고객 최우선 경영'  필요(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충족시킴으로써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방식)

더보기

2. 금융위의 금융산업 진흥 업무를 분리하여 기획재정부로 보내는 방식 고려

3. 금융감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금융위와 금감원의 조직 통합, 어렵다면 금융감독규정 제·개정 제안권을 금감원에 부여하여 금융감독의 효율성과 독립성 제고

 

▶뉴진스 키운 민희진, 하이브와 전면전

하이브의 멀티 레이블 체제 균열 조짐, 주가 7.81% 급락

하이브: 어도어 수장 민희진 대표가 경영권을 탈취하려 한다 VS 민희진: 뉴진스 표절을 묵과하려는 시도다

 

* 멀티 레이블 체제 -  - 단일 아티스트에 의존하던 구조에서 벗어나 다양한 장르와 콘셉트를 가진 아티스트로 자원을 분산하고 시너지를 내기 위한 전략

장점: 투자자 입장에서 지주사 격인 하이브에 투자해 포트폴리오 다변화

단점: 레이블 간 내부 경쟁 격화, 모회사와 의사결정 과정에서 갈등이 생길 경우 체계 붕괴 가능성 


▶환율 뛸 때가 매수 적기?…1년 뒤 코스피 항상 올랐다

과거 3번 사례서 강한 반등 보임(환율 1350원 넘어갔을 때, 코스피를 매수하고 1년을 가지고 있으면 수익을 얻을 확률이 94.47%이며 기대수익율은 50%이라는 주장)

한국과 같은 수출 중심 국가는 통화가치가 급락하면 수출 가격 경쟁력이 올라 펀더멘털이 개선되는 효과를 누리며 또 환율은 시차를 두고 하락하는데 이때 해외 투자자들이 환차익을 노리고 주식시장에 진입해 상승장이 조성된다 설명하면서 코스피지수 분할 매수 조언

 

▶'인종·성별 다양성' 지우는 美기업들

미국 기업들이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DEI)에 대한 장기 목표를 없애고 있음

축소 배경: 정치적 갈등

'소수인종 우대' 위헌 판결 이후 사회적 갈등으로 증폭되자 워크(woke-깨어있는)자본주의에 대한 반발심리 확산

 

*DEI - 정부와 대학, 기업이 채용 및 보상 절차에서 인종과 성별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사회적 기조


▶연금개혁 시민대표단 '더 내고 더 받자' 선택

보험료율 9%->13%·소득대체율 40%->50%

기금고갈은 6년 늦출 수 있지만 향후 70년동안 누적 적자 700조원 이상 늘어나게 될 것

즉, 미래세대에 부담을 떠넘기는 안(기금 고갈 후 미래세대는 월 소득 43% 보험료로 내야 함)

- 문제점

1) 국민연금 개혁의 두 가지 선택지를 전문가가 아닌 이해당사자가 결정함

2) 재정수지 전망 지표를 대거 제외한 학습자료 제공(연도별 수지차, 기금 고갈 후 출생 연도에 따른 보험료 차이 등)

3) 참여도 못한 정부: 저출산·고령화로 재정 여건과 미래세대 부담을 감안하면 소득대체율 인상을 지속가능성이 없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

 

▶기초연금 개혁도 거부한 시민대표단

기초연금 그대로 유지 VS 지급받는 어르신 축소하고 저소득 어르신 집중적 지원 -> '그대로 유지' 우세

공무원·군인연금 등 직역연금은 보험료를 높이거나 연금액을 동결하자는 의견이 과반수

본인의 이해관계에 따라 응답을 하다보니 이런 결과가 나온듯

 

▶연금특위 활동 재개 불투명…22대 국회서 본격 논의될 듯

실질적인 논의는 22대 국회 출범 후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위 두 결과는 참고사항일 뿐이지만 아무래도 2개월여간 토론과 여론조사를 거쳐 마련된 안이기 때문에 이 틀 내에서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음

 

▶20代 사기범죄율 1위, 대한민국

MZ세대 한탕 주의, 솜방망이 처벌, IT플랫폼 진화 등


▶사기죄 최고형 15년 '솜방망이 처벌'

100명이 넘는 다중 피해자가 생겨도 1인당 피해 금액이 5억원 미만이면 특정경제범죄처벌법 해당 X

초범, 미성년 등의 이유로도 77%가 형량을 감경받음


▶경찰 만성인력 부족…'사이버 사기' 수사 112일 걸려 

1건당 평균 처리 기간 37일, 신속한 수사를 통한 권리구제 불가

고도의 전문성과 경험을 요구하는 경제, 사이버 범죄에 대한 경찰의 수사 역량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지적